KBS 역사저널 그날 | KBS 실험실

[KBS 역사스페셜] 고구려성, 만리장성으로 둔갑하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참한역사미디어 댓글 0건 조회 557회 작성일 23-05-21 06:27
유튜브출처 : https://youtu.be/p9-K_RSfE1s

본문


[KBS 역사스페셜] 고구려성, 만리장성으로 둔갑하다. 


- 만리장성의 호산산성, 그곳은 고구려 박작성이었다

2009년 4월 중국은 만리장성의 동쪽 끝을 기존 산해관에서 약 2,500KM 떨어진 압록강변 호산성으로 연장하겠다고 발표했다. 남북방향으로 1,600M의 성벽을 신축했다.  그런데 중국이 새로 쌓은 성벽 아래 동북방향으로 고구려식 석축이 있다.


- 선명하게 남아있는 고구려 성의 흔적

쐐기 모양의 돌을 ‘品’ 형태로 쌓는 전형적인 고구려식 축성법, 성벽과 같은 방법으로 조성한 직경 4미터의 유물은 중국학자가 쓴 발굴기록까지 존재한다. 그러나 중국 단동시는 이 모든 기록을 무시한 채 90년대 초반부터 호산에 장성 신축을 시작해 원래 있었던 고구려 관련 표식을 모두 철거하고 호산에 ‘호산장성’ 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그러나 구당서와 삼국사기를 근거로 찾아낸 이 성의 이름은 고구려 박작성. 이곳은 고구려 해양방어체계의 핵심적 거점이었다.


- 만리장성은 정말 압록강변에 이르렀나? 

호산에서 만리장성의 석축을 발견했다고 주장하는 중국.  그러나 제대로 된 발굴 보고서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 만약 중국측 주장이 사실이라면 호산엔 성과 성을 연결하는 석축의 연결점이 있어야한다. 그러나 성곽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조사한 결과, 신축한 성벽 부근 어디에서도 석축을 발견할 수 없었다.


- 목책과 토담까지 만리장성에 편입시키다.

명대 초, 북방의 여진과 몽골을 방어하기 위해 산해관에서 압록강변까지 구축했던 방어선 요동변장을 만리장성이라고 주장하는 중국. 목책과 토담, 석책까지 만리장성의 일부라고 주장하고 있다.


- 변조되는 동북공정, 고구려의 심장까지 치고 들어오다.

2009년 4월에 이어 12월 중국은 또다시 통화현에서 한 대 만리장성의 유적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통화현은 집안 환인과 함께 고구려의 대표적 발흥지. 만리장성의 하나로 지목된 남대자성은 고구려 유적과 한대 유물이 복합해 출토된 곳으로 일대 주민들은 이곳을 ‘고구려성’이라고 부른다.


- 지금 요동의 고구려사(史)가 위험하다.

취재진은 비사성, 성산산성, 백암성, 봉황성 등 요동지역 고구려 성들의 현재를 긴급 진단했다. 그 결과 대다수 고구려 성은 중국식으로 변형돼있었고 그 이름조차 중국식으로 개명된 경우도 많았다.


신역사스페셜 35회 – 고구려성, 만리장성으로 둔갑하다 (2010.5.15.방송)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글


최근글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참한역사칼럼 바로가기
참한역사신문 바로가기
참한역사 동영상 바로가기
新바람 한민족역사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