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 문명·종교2 | 실크로드 미술과 고대 한국

페이지 정보

작성자참한역사미디어 댓글 0건 조회 25회 작성일 24-06-10 19:42
유튜브출처 : https://youtu.be/W7AfU9lBgRk

본문


[학림tv] 유라시아 문명·종교2 | 실크로드 미술과 고대 한국


“유라시아 문명·종교의 용광로, 실크로드”


1강. 통사: 한민족의 시선으로 실크로드 문명교류사 다시 보기 [윤명철 교수]   

 • 유라시아 문명·종교1_ 한민족의 시선으로 실크로드 문명교류사 다시 보기   


2강. 미술사: 유라시아의 바람! 실크로드 미술과 고대 한국 [권영필 교수]   

• 유라시아 문명·종교2_ 실크로드 미술과 고대 한국


3강. 음악사: 파미르를 넘어 서역과 고구려로 이어진 인도음악 [전인평 교수]   

 • 유라시아 문명·종교3_파미르를 넘어 서역과 고구려로 이어진 인도음악  


[2강 키워드]

- 리히트호펜은  "동서문명의 교류 루트에는 세가지 길이 있다" 

- 사막·해양의 길의 東西를 오가며 족적을 남긴 인물들 : 장건, 법현, 현장, 혜초

- 청동기의 동점 : 

▷청동기의 출발_기원전 3000년경 Caucasus 지방/이란 高原, 

▷시베리아 미누신스크 지역 안드로노보 문화기의 청동기_기원전 2000년 전후

▷중국_기원전 2000년 이후

▷한국_기원전 10세기

- 고대 한국이 청동기시대 이래로 보다 더 세계문화의 기류를 호흡할 수 있었던 것은 특히 草原문화와의 연관 속에서 가능

- 고대 한국 사회에는 다양한 유형의 방울 儀器들 개발. 어쩌면 샤만의 巫具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기도 함

- 대구 비산동 출토 청동 双鴨 劍把頭飾(1세기, Leeum박물관)의 오리문양은 시베리아 남부 알타이의 스키타이 문양과 강한 유사성 보임.

- 유목족들이 금제품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사실은 그들의 고분 출토품들이 입증

- 1974년 러시아 고고학팀의 Grjaznov가 발굴한 環形 동물양식은 기원전 9세기 청동기 유물로서 스키타이의 시원연대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

- 그리핀(Griffin)은 사자의 몸체에 독수리의 상체를 가진 상상적 동물로서 기원전 제4밀레니엄기에 탄생된 힘과 권력의 화신. 특히 스키타이의 금제 장신구에 애호되는 문양

▷낙랑 칠기유물에도 등장하여 주목

- 불교미술은 간다라 불상에서 보듯이 헬레니즘 이래의 서방문물을 흡수하여 자기화 시킴

- 헤라클레스의 상징 문양은 사자인데, 불교 미술을 통해 동방으로 전파 

- 로만 글래스 : Blowing 기법의 유리그릇은 기원전 50년경 시리아·팔레스타인 지역에서 개발되어 곧 전 로마제국으로 확산 

▷황남대총 남분 출토 유리병 

▷경주 미추왕릉 지구 출토 유리 구슬

▷内藤 栄(나이토 사카에)“正倉院 유리잔은  백제에서 온 것.”

▷日本書紀 : “百濟 554年  탑등(페르시아 담요)을 日本에 進上함.”

- 페르시아 形象土器 : 신라 고분 출토의 기마인물형 토기 1쌍은 이러한 조형적 흐름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

- 아프라시압 벽화(7세기 중반) : 당 고종 때(635년) 景敎수사 阿羅本 長安도착

- 連珠文 :  페르시아 - 소그드 - 중국 - 한국 

- 근세에 실크로드의 심장부인 중앙아시아를 탐사한 인물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글


최근글


새댓글




참한역사칼럼 바로가기
참한역사신문 바로가기
참한역사 동영상 바로가기
新바람 한민족역사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