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 한반도 사람들은 무엇을 먹으며 25,000㎞ 넘어 칠레에 도착했을까? | 아메리카 최초 원주민 출발지는 한반도 3부

페이지 정보

작성자참한역사미디어 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4-06-04 21:33
유튜브출처 : https://youtu.be/DB1n9RiStmI

본문


[학림tv] 선사시대 한반도 사람들은 무엇을 먹으며 25,000㎞ 넘어 칠레에 도착했을까? | 아메리카 최초 원주민 출발지는 한반도 3부


- 한반도의 인류가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동할 경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제3의 식량 자원에 대한 심층분석

- 연체동물은 해안은 물론이고 인류 이주의 주요 거점인 강과 호수, 늪지에 분포

-  채식문화를 상징하는 나물 요리처럼 해조류 음식 역시, 요하문명, 홍산문화의 본령을 정점으로 확산

- 순다랜드에서 황하 대초원으로 이어지는 해안 고속도로

- 인류의 해조류 식량자원과 관련된 흥미로운 미국의 공교육을 지원하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교사용 블로그

- 인류학자들은 이 해안 루트를 왜 "켈프 하이웨이"라고 부를까

- 왜 다시마 고속도로 이론에 대한 증거가 풍부하지 않을까

- 2021년도에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지구과학 보고서'에 실린 ‘베링 임시 다도해: 최초의 미국인을 위한 징검다리

- 지구상에 가장 중요한 생태 서식지 중 하나인 바다의 목장으로 불리는 다시마와 미역 숲의 분포도

- 황해 대초원에서 알류샨 열도를 지나 LA 남쪽까지 켈프 하이웨이 형성

- 남미 원주민들의 고래사냥 문화와 다시마 전통 음식 코차유요

- 조선 봉수대 제1로 마을의 다시마를 지붕으로 엮은 특이한 가옥들

- 연어의 천국 연해주와 한반도 그리고 켈프 하이웨이를 따라 이어진 황금어장

- 내몽골까지 거슬러 오른 흑룡강의 연어와 백두대간을 향한 수백만 마리의 연어 떼


[아메리카 최초 원주민 출발지는 한반도 시리즈] -------------------------------------------------------

⦿ 1부. 미국 학계 10명 중 8명은 '동·북아시아인 해안 이동설' 인정 

 • 미국 학계 10명 중 8명은 '동·북아시아인 해안 이동설' 인정 

⦿ 2부. 사라진 대륙 순다에서 빙하기 황해 대초원까지

 • 사라진 대륙 순다에서 빙하기 황해 대초원까지 

⦿ 3부. 선사시대 한반도 사람들은 무엇을 먹으며 25,000㎞ 넘어 칠레에 도착했을까?

 • 선사시대 한반도 사람들은 무엇을 먹으며 25,000㎞ 넘어 칠레에 도착했을...  

⦿ 4부. 한반도에서 발굴된 인류最古의 카누와 고래사냥

 • 한반도에서 발굴된 인류最古의 카누와 고래사냥 

⦿ 5부. 빙하기의 한반도 대초원에 가죽 카누가 있었을까? 

 • 전 세계 배의 기원. 빙하기의 한반도 대초원에 가죽 카누가 있었을까...  

⦿ 6부. 교과서 다시 써야 "2만 년 전 대한해협 수심은 10m" 

 • 교과서 다시 써야 "2만 년 전 대한해협 수심은 10m" 

⦿ 7부. 6만 년 전 해협 횡단에 성공한 인류의 쿠릴열도 도전기

 • 6만 년 전 해협 횡단에 성공한 인류의 쿠릴열도 도전기 _ 아메리카...  

⦿ 8부. 이순신과 진린은 전략요충지인 한라산을 볼 수 있었을까?

 • 이순신과 진린은 전략요충지인 한라산을 볼 수 있었을까?  


▣ 참조

◻ 러시아 캄차카반도의 까마귀 신화와 솟대 : 아메리카 몽골리안 루트의 중간 기착지

 • 러시아 캄차카반도의 까마귀 신화와 솟대 : 아메리카 몽골리안 루트의...  

◻ 해 뜨는 부상국을 향한 몽골리안 루트

 • 【100만 누적조회 영상 톺아보기】 해 뜨는 부상국을 향한 몽골리안 루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글


최근글


새댓글




참한역사칼럼 바로가기
참한역사신문 바로가기
참한역사 동영상 바로가기
新바람 한민족역사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