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규철] 발해제국사 | 2-1 강 : 한국사에서의 발해사 인식 | 한규철교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참한역사미디어 댓글 0건 조회 508회 작성일 23-10-07 16:34
유튜브출처 : https://youtu.be/9pyKqIP8J0E

본문

※ 전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 내용을 담고있어서 신문에 링크를 걸었습니다. 사용자가 유투브 채널 외에 재생 불가를 설정한 영상이기에 화면에 " YouTube에서 보기 "를 누르시고 유투브 화면에서 시청하시길 바랍니다.  



[한규철] 발해제국사 

2-1 강 : 한국사에서의 발해사 인식 | 한규철교수


2 : 발해제국사 연구사 개관 

2-1 강 : 한국사에서의 발해사 인식 


(2-1 강의 목차) 

1. 발해시대, 신라 지성의 발해사 인식

  최치원의 발해관, 신라를 경주로 고치다

2. 고려시대 지성의 발해사 인식

   고려태조의 발해사 인식 : 친척지국, 만부교사건

   고려 초 김부신 등의 발해인식 : 삼국사기에서 제외된 발해사

   고려 말 이승휴의 발해인식 : 『제왕운기(帝王韻紀)』는 한국사로 인식

3. 조선시대 지성의 발해사 인식

   조선 초 『동국통감(東國通鑑)』 등은 고구려와 다른 말갈사로 인식

   조선 말 실학자들의 발해인식 : 이종휘의 『동사(東史)』, 유득공의 『발해고(渤海考)』

4. 독립운동기의 발해사 인식 

5. 해방 후의 발해사 인식

6. 남북한의 발해사 인식


(2-1강 요약) 

1. 신라 지성들은 발해를 고구려의 변방 마을 사람들에 의해 건국된 왕조로 이해하면서도, 말갈족으로 생각하고 있었는가 하면, 

2. 고려시대는 『삼국사기』에서 발해가 제외된 한계도 있었으나, 고려 태조는 발해를 친척지국으로 생각하기도 하였고, 고려 말에는 처음으로 발해를 한국사로 보기 시작하였다. 

3. 그러나 성리학적 조선 초기 지성들은 발해를 한국사에서 제외하였으나, 실학시대에는 신라와 발해를 남북국시대로 보기 시작하였다. 

4.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기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남북국의 하나로 발해를 보기도 하였으나, 대부분의 인식은 통일신라시대 중심의 사고를 하였다. 해방 후의 발해사는 남북으로 갈리게 되며 입장차가 없지 않으나, 양국을 남북국시대로 보는 입장에서 발해사적 의미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 내용을 유튜브에 자막(CC 포함)  등을 추가하여 공개합니다.

https://www.kmooc.kr/courses/course-v...

네이버 QR

https://m.site.naver.com/09psV

발해사 논저목록은 아래 저의 블러그를 참조바랍니다.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


(전체1-13 강의목표) 《발해제국사》(발해제국의 역사와 문화)

1. 발해국이 황제국이고 국제적이었던 제국이었음을 이해한다. 

2. 정치, 문화적 측면에서 발해제국의 고구려계승성을 이해한다. 

3. 한국사의 남북국시대사적 입장에서 발해제국을 이해한다.

4. 발해사를 인식해온 역사와 한중일러의 연구를 이해한다.

5. 발해제국의 정치‧사상‧문화의 발전과정을 이해한다.

6. 발해멸망 후, 요금과의 역사계승관계를 이해한다.


(전체1-13 강의계획)  《발해제국사》(발해제국의 역사와 문화) 전체 강의계획


1. 발해제국은 어떤 왕조였는가(발해제국사 개관)

  (1) 고구려보다 1.5배에서 두 배나 넓었던 229년간의 발해제국

  (2) 황제국이었던 발해와 남북국시대의 신라와 발해

2. 발해사를 보아 온 견해(연구사의 대강)

  (1) 한국사에서의 발해사인식

  (2) 중국과 일본, 러시아에서의 발해사연구

3. 발해는 이렇게 세워졌다(발해 건국 과정)

  (1) 발해건국 이전의 동아시아 정세

  (2) 고구려유민의 부흥운동과 발해건국

4. 자주적이었던 발해제국(발해국의 성격)

  (1) 정치‧외교적으로 본 발해의 자주성

  (2) 건축‧문화적으로 본  발해의 자주성

5.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제국1(영토와 종족)

  (1) 영토와 주민이동으로 본 발해인

  (2) 말갈로도 불리었던 고구려와 발해인

6.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제국2(언어,고분,주거지)

  (1) 풍속‧언어와 무덤 문화를 통해 본 발해인

  (2) 주거지와 그릇문화를 통해본 발해인

7 남북국시대의 전개(신라와 발해의 교섭과 대결)

  (1) 신라의 삼국통일과 남북국의 형성

  (2) 남북국의 교섭과 대결관계

8 발해의 대외관계사1(발해와 당)

  (1) 발해의 교통로와 국제성

  (2) 정치‧군사적으로 본 발해와 당

  (3)경제‧문화적으로 본 발해와 당

9 발해의 대외관계사2(발해와 일본)

  (1) 정치‧군사적으로 본 발해와 일본

  (2) 경제‧문화적으로 본 발해와 일본

10 발해의 중앙과 지방, 군사‧행정제도(발해의 통치제도)

  (1) 발해의 중앙과 지방제도

  (2) 발해의 군사‧사회‧경제제도

11 발해인들의 사상과 사랑 이야기(발해의 사상과 학문)

  (1) 발해의 불교와 유교

  (2) 발해의 학문과 문학

12 발해유적을 돌아 보다(발해 문화)

  (1) 중국과 러시아의 발해문화 유적

  (2) 북한과 일본의 발해문화 유적

13 발해멸망 원인과 발해유민을 알아본다(발해멸망과 발해유민)

  (1) 발해멸망과 발해유민

  (2) 발해유민의 거란과 여진


(참고자료)

『고대 환동해 교류사(발해와 일본)』, 동북아역사재단 편,   2010 

『동아시아의 발해사 쟁점 비교연구』, 동북아역사재단 편,   2009

『발해의 대외관계사』, 한규철, 신서원,  1994 

『발해정치사연구』, 송기호, 일조각,  1995

『중국의 발해 대외관계사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편, 2011

『발해의 역사와 문화』, 동북아역사재단 편, 2007


(강의교수 프로필)

이름: 한규철 韓圭哲  Han, Giu-cheol 

(48434) 부산시 남구 수영로 309(대연동) 경성대 문과대학 인문문화학부 명예교수

Department. of History Kyungsung University. 110,Daeyon-Dong,Nam-Ku, Busan 608-736,KOREA

E-mail: palhae@ks.ac.kr /

홈페이지 : http://prof.ks.ac.kr/palhae

http://facebook.com/giucheol.han 


경성대 박물관장, 중앙도서관장, 문과대 학장

국사편찬위원회 제17대 위원(2012.10.25~2015.10.24)

한국고대사 학회 회장(1997.3-1999.2) / 부산경남사학회 회장(2003.1-2004.12)  / 고구려연구회 회장(2006.1-2007.12) / 사단법인 고구려발해학회 회장(2008.1-2013.12) 이사장(2008.3~2011.3)

재단법인 고려학술문화재단 이사(2014.1~현재) 사단법인 고구려발해학회  이사(2008.3~2019)  사회복지법인 영락복지재단 이사(2018.3-2021.2) 

중국의 고구려사왜곡공동대책위원회 (17개 학회) 공동대표(2003) 고구려연구재단 설립추진위원회 위원(2004) / 고구려연구재단 연구위원(2004.6~2006.6) / 동북아역사재단 자문위원(2006.11~2009.10)

러시아 사회과학원 극동역사고고연구소 초빙교수(Vladivostok) / 중국사회과학원 흑룡강성 역사연구소 초빙교수(하얼빈) / 일본 국학원대 대학원 객원연구교수(도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공지글


최근글


새댓글




참한역사칼럼 바로가기
참한역사신문 바로가기
참한역사 동영상 바로가기
新바람 한민족역사계 바로가기